본문 바로가기

제로윈코딩

(11)
ESP8266 ESP-01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blog.naver.com/cherrychance/221988386492 ESP8266 ESP-01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ESP8266 ESP-01은 아두이노와 궁합이 잘 맞습니다.아두이노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구현하고 싶을때 저... blog.naver.com
우노빅보드 스마트팜 동작 테스트 스마트팜 구현에 필요한 센서 / 제어 / 데이터 통신 를 연결하여 기본 동작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include #include #define DEBUG true #define USE_NETWORK false #define RXPIN 3 #define TXPIN 2 SoftwareSerial esp8266Serial(RXPIN,TXPIN); // Pin 2 & 3 of Arduino as RX and TX. Connect TX and RX of ESP8266 respectively. //===================================================================== #include #include #define DHTPIN 4 #define DHTTYPE D..
TCP 통신 Node-RED + Arduino ESP8266 Arduino ESP8266 아두이노와 ESP8266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TCP 통신을 구현합니다. Node-RED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합니다. 먼저 아두이노 스케치에서 프로그래밍을 진행합니다. SoftwareSerial을 이용하여 ESP8266과 시리얼 통신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define RXPIN 3 #define TXPIN 2 SoftwareSerial esp8266Serial(RXPIN,TXPIN); // Pin 2 & 3 of Arduino as RX and TX. Connect TX and RX of ESP8266 respectively. ESP8266 AT COMMAND 전송 문자열 과 결과값 디버그 출력합니다. String esp8266Data(String command, const..
Github 에 소스 히스토리 비교 Github를 이용하여 소스를 관리하는 경우 이점은 이전소스를 확인/비교해볼수 있습니다. 잘못 수정하였거나 작업했던 내용이 기억이 나지 않을 때 github - history를 확인해봄으로써 프로그래밍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View on GitHub 먼저 github 사이트를 방문하여 로그인합니다. 그리고 His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 현소스와 비교를 원하는 히스토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commit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별로 비교하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다른 부분이 색상별로 잘 구분되어 있으니 어렵지 않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ftp 서버 설치 on windows 파일질라 서버 다운로드 파일질라는 오픈소스 크로스 플랫의 자유 소프트웨어인 FTP 프로그램입니다.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서버정보를 설정합니다. 접속 계정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ftp 공유 폴더를 추가합니다. node-red 와 연동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nodejs 폴더내에 ftp 폴더를 만들겠습니다. ftp 서버 주소와 사용자명 /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서버 접속을 시도합니다.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접속 테스트합니다. 성공적으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웹브라우져에서 ftp 로그인하여 ftp 폴더내에 있는 파일을 볼수 있고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사용자명/ 비..
Android + Unity - Scene 변경시 데이터 전달 오류 android 에서 ble data 를 블루투스 slave 보드에서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유니티로 데이터를 넘깁니다. 유니티는 화면을 Scene 로 나누어 계층적으로 제작합니다. Scene 이동시 데이터 전달할 때 UI 오류 발생 이전 Scene UI 컴포넌트 NULL 에러 그래서 아래와 같이 수정합 Android Logcat 에서 Unity Log 디버그 정상동작 동영상
Loadcell 초기화 관련 수정 시리얼 입력 "3" 으로 로드셀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보드 부팅시 setup_loadcell() 함수를 실행합니다. 저장된 오프셋을 불러와서 보드에 적용합니다. 로드셀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서버에 업로드된 데이터 입니다.
라이다센서 + RF 통신 모듈 라이다 거리센서 측정후 RF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라이다센서 메뉴얼 참조 : https://www.elecrow.com/download/TF-MINI-LIDAR-USER-MANUAL.pdf TF Mini 거리센서는 12미터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정확성 또한 뛰어납니다. ATmega 328P를 이용하여 보드를 제작하였으므로 아두이노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거리센서를 연결한 충분한 GPIO핀이 없어 아날로그 핀 A0, A1을 거리센서 핀으로 할당하였습니다. bitrate 115200bps 임에도 정상동작하였습니다. #include//header file of software serial port SoftwareSerial Serial1(A0,A1); //define sof..